티스토리 뷰
목차
프리랜서로 일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3.3% 세금 떼고 입금드릴게요."
처음에는 그냥 그러려니 넘기기 쉬운데,
이 3.3% 원천징수, 알고 보면 꽤 중요한 돈입니다.
이 글에서는 3.3%가 무엇인지, 왜 떼는 건지,
그리고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까지
프리랜서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 3.3% 원천징수란?
프리랜서 소득은 근로소득이 아니라 사업소득으로 분류됩니다.
이 때문에 돈을 지급하는 쪽에서는 소득세 3% + 지방세 0.3%를 미리 떼고 입금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3.3% 원천징수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벌었다면,
실제 입금액은 약 96만 7천 원 정도가 됩니다.
단순히 빠지는 세금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은 국가에 잠시 맡겨놓은 선납세금입니다.
🔍 왜 미리 떼는 걸까요?
프리랜서의 소득은 정부가 직접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일단 세금을 먼저 걷고, 이후 정산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억울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직접 신고만 하면 돌려받을 수 있는 구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3.3%는 '선납한 세금'입니다
이 세금은 국가에 미리 맡겨둔 것에 가깝습니다.
실제로 부담해야 할 세금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 1년간 총 수입
- 경비
- 공제 항목
이 내용을 반영해 계산하면,
실제 세금이 3.3%보다 적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럴 경우, 차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환급 신청은 언제, 어디서 하나요?
-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장소: 국세청 홈택스
홈택스에 접속해 종합소득세 > 정기신고 > 모두채움신고서를 선택하면
기본 자료가 자동으로 채워진 상태에서 신고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수입 내역, 경비, 공제 항목을 입력하면
환급 예상 금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제출까지 완료하면, 보통 2~4주 안에 환급금이 계좌로 입금됩니다.
📌 예시로 보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
✔️ 프리랜서 A씨는 1년 동안 2,000만 원을 벌었고,
66만 원이 원천징수 되었습니다.
경비와 공제를 반영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니,
실제 세금은 약 25만 원 수준으로 계산되었고,
결과적으로 41만 원을 환급받았습니다.



❗ 환급 신청을 하지 않으면?
환급은 자동으로 되지 않습니다.
직접 신고하지 않으면,
3.3%는 그냥 국가에 납부한 세금으로 확정됩니다.
결국 내가 챙기지 않으면, 아무도 챙겨주지 않는 구조입니다.
💡 핵심만 요약하면
- 3.3%는 선납한 세금
-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로 환급 가능
- 실제 세금은 더 적을 수 있음
- 신고하지 않으면 환급 불가
✅ 마무리 정리
구분 | 내용 |
---|---|
원천징수율 | 3.3% (소득세 3% + 지방세 0.3%) |
대상 | 프리랜서, 사업소득자 |
환급 방법 |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5월 중) |
환급 소요 | 2~4주 내 계좌 입금 |
주의사항 | 신고하지 않으면 환급 불가 |
📌 프리랜서라면 3.3%는 그냥 넘기면 안 되는 세금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홈택스에서 실제로 환급 신청하는 방법도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