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프리랜서로 일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3.3% 세금 떼고 입금드릴게요."

    처음에는 그냥 그러려니 넘기기 쉬운데,
    3.3% 원천징수, 알고 보면 꽤 중요한 돈입니다.

    이 글에서는 3.3%가 무엇인지, 왜 떼는 건지,
    그리고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까지
    프리랜서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 3.3% 원천징수란?

    프리랜서 소득은 근로소득이 아니라 사업소득으로 분류됩니다.
    이 때문에 돈을 지급하는 쪽에서는 소득세 3% + 지방세 0.3%를 미리 떼고 입금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3.3% 원천징수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벌었다면,
    실제 입금액은 약 96만 7천 원 정도가 됩니다.

    단순히 빠지는 세금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은 국가에 잠시 맡겨놓은 선납세금입니다.


    🔍 왜 미리 떼는 걸까요?

    프리랜서의 소득은 정부가 직접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일단 세금을 먼저 걷고, 이후 정산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억울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직접 신고만 하면 돌려받을 수 있는 구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3.3%는 '선납한 세금'입니다

    이 세금은 국가에 미리 맡겨둔 것에 가깝습니다.

    실제로 부담해야 할 세금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 1년간 총 수입
    • 경비
    • 공제 항목

    이 내용을 반영해 계산하면,
    실제 세금이 3.3%보다 적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럴 경우, 차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부채꼴 모양의 오만원권 지폐
    환급 받은 현금


    📅 환급 신청은 언제, 어디서 하나요?

    홈택스에 접속해 종합소득세 > 정기신고 > 모두채움신고서를 선택하면
    기본 자료가 자동으로 채워진 상태에서 신고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수입 내역, 경비, 공제 항목을 입력하면
    환급 예상 금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제출까지 완료하면, 보통 2~4주 안에 환급금이 계좌로 입금됩니다.


     

    📌 예시로 보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

    ✔️ 프리랜서 A씨는 1년 동안 2,000만 원을 벌었고,
    66만 원이 원천징수 되었습니다.

    경비와 공제를 반영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니,
    실제 세금은 약 25만 원 수준으로 계산되었고,
    결과적으로 41만 원을 환급받았습니다.

    카카오뱅크 입금 알림 이미지지갑에서 현금 꺼내는 사진BANK 일러스트 이미지
    환급 입금과 수령 흐름 이미지

    ❗ 환급 신청을 하지 않으면?

    환급은 자동으로 되지 않습니다.

    직접 신고하지 않으면,
    3.3%는 그냥 국가에 납부한 세금으로 확정됩니다.

    결국 내가 챙기지 않으면, 아무도 챙겨주지 않는 구조입니다.


    💡 핵심만 요약하면

    • 3.3%는 선납한 세금
    •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로 환급 가능
    • 실제 세금은 더 적을 수 있음
    • 신고하지 않으면 환급 불가

    ✅ 마무리 정리

    구분 내용
    원천징수율 3.3% (소득세 3% + 지방세 0.3%)
    대상 프리랜서, 사업소득자
    환급 방법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5월 중)
    환급 소요 2~4주 내 계좌 입금
    주의사항 신고하지 않으면 환급 불가

    📌 프리랜서라면 3.3%는 그냥 넘기면 안 되는 세금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홈택스에서 실제로 환급 신청하는 방법도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만원짜리 지폐들 펼쳐진 모습작은 금고 박스 옆 펼쳐져 있는 지폐들과 동전들미국 지폐들
    mon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