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안내 화면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안내

     

     

    2025년에도 전국적으로 주민등록 사실조사가 진행됩니다.

    매년 실시되는 이 조사는 주민등록사항과 실제 거주 여부를 확인해 행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복지 서비스와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절차입니다.

    단순한 행정 절차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조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 참여 방법, 조사 대상과 주의사항을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주민등록 사실조사란 무엇인가?

    주민등록 사실조사주민등록법 제20조시행령 제27조에 따라 매년 정기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주민등록 정보와 실제 거주 상태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행정 자료의 정확성을 높이고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쉽게 말해, 내가 등록된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일치하는지, 장기 거주불명자가 없는지, 복지 지원이 필요한 사람이 누락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

    • 비대면 조사
      기간: 2025년 7월 21일(월) 오전 9시 ~ 8월 31일(일) 자정
      방법: 부24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 인증 후 간편하게 참여 가능
    • 방문 조사
      기간: 2025년 9월 1일(월) ~ 10월 23일(목)
      대상: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중점 조사 대상 세대
    • 전체 조사 종료일: 2025년 11월 26일(수)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면 굳이 조사원이 집에 방문하지 않기 때문에 훨씬 편리합니다.

    ☆ 중점 조사 대상

    일반 가구는 정부24를 통해 간단히 참여할 수 있지만, 일부 세대는 방문조사가 필수적으로 이뤄집니다. 대표적인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00세 이상 고령자
    • 장기 거주불명자
    • 사망 의심자
    • 복지 취약계층
    • 장기 결석 아동 및 학령기 미취학 아동

    이 경우는 행정 안정성과 복지 전달을 위해 직접 확인 절차가 필요합니다.

    ★ 참여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을까?

    주민등록 사실조사에 응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민등록상 주소가 불일치하거나 거주불명자로 판정될 경우, 각종 행정 서비스 이용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복지 혜택, 교육, 의료 서비스와 연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드시 사실조사에 참여해 불이익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참여 방법 한눈에 정리

    스마트폰만 있으면 5분도 채 걸리지 않습니다. 아래 절차대로 참여해 보세요.

    • ✔️ 정부24 앱 접속 → 본인 인증 → 사실조사 참여
    • ✔️ 기간 내 비대면 참여 시 방문조사 면제
    • ✔️ 방문조사 시에는 세대주 또는 세대원 확인 절차 필요

    ★ 주민등록 사실조사의 의미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단순히 개인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가 아니라, 국민의 안전망을 지키는 제도입니다.

    정확한 주민등록은 재난 지원, 복지 혜택, 정책 수립 등과 밀접하게 연결되며 결국 국민 개개인의 생활 안정과도 직결됩니다.

    따라서 올해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나와 가족의 권리를 지키고, 불필요한 불이익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7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진행되며, 가장 간편한 방법은 정부24 앱을 통한 비대면 참여입니다.

    비대면 조사만으로도 충분히 참여가 인정되니, 꼭 기간 내에 확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 정리하면,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편리하게 앱으로 참여 가능하고, 미참여 시 방문조사와 불이익이 따라올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